본문 바로가기

[3분 요약] 세이프티 스코어(Safe T Score) 공식: 과거와 현재의 안전 성과 비교 및 평가

마이랩 2025. 11. 15.

기업 안전 관리의 핵심은 과거 대비 현재의 안전 성과 추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입니다. 세이프티 스코어(Safe T Score)는 재해율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러한 비교 평가를 수행하는 통계적 방법입니다. 이 스코어는 계산 결과의 부호(+ 또는 -)와 크기를 통해 안전 수준의 개선 또는 악화 정도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I. 세이프티 스코어(Safe T Score)의 개념

세이프티 스코어는 단순히 현재 재해율을 제시하는 도수율, 강도율을 넘어, 과거의 안전 성적과 현재의 성적을 비교,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 점이 일반적인 재해율 지표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 계산 결과가 양수(+)이면 나쁜 기록 (안전 성과 악화)을 의미합니다.
  • 계산 결과가 음수(-)이면 좋은 기록 (안전 성과 개선)을 의미합니다.

II. 스코어 계산 공식 및 평가 기준

스코어 계산에는 일반적으로 도수율(Frequency Rate)을 기반으로 한 과거와 현재의 재해 빈도가 사용됩니다.

세이프티 스코어 계산 공식

(현재 빈도율 - 과거 빈도율)
제곱근(√)[ (과거 빈도율 / 근로 총 시간수(현재)) × 10⁶ ]

*빈도율은 통상적으로 도수율(근로 100만 시간당 재해건수)을 의미합니다.

1. 스코어 값에 따른 안전 수준 판정 기준

계산 결과 범위 안전 성과 해석
+2 이상 과거보다 심각 (안전 성과 현저히 악화)
-2 ~ +2 과거와 차이가 없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 없음)
-2 이하 과거보다 좋아짐 (안전 성과 현저히 개선)

III. 스코어 활용 및 심화 학습

세이프티 스코어는 안전 관리자가 재해 예방 활동의 효과를 측정하고, 투입된 안전 비용 대비 성과를 객관적으로 보고하는 데 유용합니다. 특히 -2 이하의 결과가 나왔을 경우, 해당 기간의 안전 활동을 표준화하여 안전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세이프티 스코어에 사용되는 '빈도율'의 기본 공식이 궁금하다면?

연천인율, 도수율, 강도율의 정의와 근로손실일수, 종합재해지수까지 모든 재해율 공식을 마스터하세요!

재해율 공식 마스터하기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