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분 요약] 산업안전: 유해인자 노출 허용 기준 (TWA, STEL) 정의 및 비교표

마이랩 2025. 10. 29.

산업 현장의 유해인자 관리는 안전 보건의 기본입니다. 유해인자 노출 허용 기준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설정된 법적 기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간가중평균값(TWA)과 단시간노출값(STEL)의 핵심 정의와 특징, 그리고 주요 유해인자의 기준을 3분 안에 요약 정리합니다.

I. 시간가중평균값 (TWA: Time-Weighted Average)

TWA는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한 평균 노출 농도입니다. 이 기준값 이하에서는 모든 근로자가 건강상의 나쁜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농도라고 봅니다.

  • 정의: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한 평균 노출 농도.
  • 단위: ppm, mg/m³ 또는 개/cm³.

II. 단시간 노출값 (STEL: Short-Term Exposure Limit)

STEL은 TWA를 초과하더라도 15분 동안의 시간가중평균값으로서 노출 농도의 상한선을 의미합니다.

🔔 STEL 노출 조건 3가지

  • 1회 노출 지속시간은 15분 미만이어야 합니다.
  • 이러한 상태가 1일 4회 이하로 발생해야 합니다.
  • 각 회의 간격은 60분 이상이어야 합니다.

III. 주요 유해인자별 노출 허용 기준 (비교표)

시간가중평균값(TWA)과 단시간노출값(STEL)의 허용 기준을 주요 유해인자별로 비교합니다.

유해인자 (주요) TWA (시간가중평균값) STEL (단시간노출값)
벤젠 (Benzene) 0.5 ppm   2.5 ppm  
일산화탄소 30 ppm   200 ppm  
니켈 카르보닐 0.001 ppm   - -
톨루엔 50 ppm   150 ppm  
 

🔍 FMEA, HAZOP 등 시스템 안전 공학 심화 분석이 필요하다면?

본관 워드프레스에서 시스템 위험 분석 기법별 정의 및 RPN 공식 심층 분석 글을 확인하세요!

심화 분석 및 공식 보러 가기 »

댓글